분홍 펠리컨

Pelecanus philippensis

가람조()라고도 한다. 몸길이 140∼178cm이다. 어미새의 몸빛깔은 흰색이며 첫째날개깃은 검정색이다. 어린 새는 온몸이 갈색이다. 부리가 크고 아랫부리에 신축성이 있는 큰 주머니가 달려 있다. 다리는 짧고 4개의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다. 아랫부리 주머니는 피부로 되어 있으며 평소에는 보이지 않다가 먹이를 낚았을 때 크게 늘어난다.

  • \학명 : Pelecanus philippensis
  • \생물학적 분류
  • E계 : 동물계(Animalia)
  • E문 : 척삭동물
  • E강 : 조류
  • E목 : 사다새목
  • E과 : 사다새과
  • \멸종위기등급 : 취약
  • \크기 : 140∼178cm
  • \서식장소 : 해안, 내륙 호수
  • \분포지역 : 유럽(남동부)·몽골·시베리아

특징

해안이나 내륙의 호수에 살면서 부리주머니 속에 작은 물고기나 새우 따위를 빨아 삼킨다. 둥지는 호숫가나 습지의 갈대밭이나 갯벌에 나뭇가지 또는 풀을 이용하여 접시 모양으로 튼다. 3∼7월에 한배에 2∼3개(때로는 4개)의 알을 낳는데, 부화한 지 10일이면 온몸에 흰 솜털이 덮인다. 유럽 남동부에서 몽골, 시베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며 남쪽으로 내려가 겨울을 난다. 한국에서는 1914년 11월 3일에 인천에서 한 차례 채집된 기록이 있다.

오색청해 앵무

Trichoglossus haematod

오색청해앵무는 화려하고 명랑하며 장난을 좋아한다. 이 종은 유럽과 미국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각각의 쌍으로 키우는 것이 좋다. 소화에 민감하여 상한 것을 먹었을 경우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혼합 과즙은 단번에 먹을 양으로 조절, 남은 것은 폐기한다.

  • \학명 : Trichoglossus haematod
  • \생물학적 분류
  • E계 : 동물계(Animalia)
  • E문 : 척삭동물문
  • E강 : 조류
  • E목 : 앵무목
  • E과 : 앵무과
  • \원산지 : 호주 동부와 북부
  • \크기 : 26cm
  • \먹이 : 기본 급식은 주로 과즙과 과일

특징

화려하고 명랑하며 장난을 좋아한다. 각각의 쌍으로 키우는 것이 좋다. 이 종은 적당한 환경에서 자랄 때 기꺼이 둥지를 튼다. 이 오색청해앵무와 에드워드 로리키트(Edward’s Lorikeet)와 같은 종족은 유럽과 미국에서 흔히 볼 수 있고, 레인보우로리키트(Rainbow or Swainson’s Lorikeet)는 호주에서 더욱 널리 사육되고 있다.

사랑앵무

Melopsittacus undulatus

몸길이 18∼20cm로 작고 유선형의 새이다. 뾰족한 날개와 꼬리, 작은 몸집, 독특한 깃털 빛깔 등으로 다른 종과 잘 구별된다. 이마는 노란색이고 머리는 노란색과 검은색 줄무늬가 있으며 뺨에는 자주색과 검은색의 반점이 있다. 부리는 뾰족하고 윗부리가 아랫부리보다 길며 목은 노란색이다. 날개의 칼깃은 가운데가 검은색이고 그 테두리는 노란색이나 녹색이며 꼬리는 청록색이다. 사육종은 깃털 빛깔이 크게 다르다. 번식기의 암컷은 콧구멍을 덮고 있는 부리 주위의 피부가 파란색에서 옅은 갈색이나 우윳빛의 베이지색으로 변한다. 수컷의 경우는 푸른색 또는 자주색 계열을 띤다.

  • \학명 : Melopsittacus undulatus
  • \생물학적 분류
  • E계 : 동물계(Animalia)
  • E문 : 척삭동물문
  • E강 : 조류
  • E목 : 앵무목
  • E과 : 목도리앵무과
  • \멸종위기등급 : 관심대상
  • \크기 : 몸길이 18∼20cm
  • \수명 : 7∼15년
  • \서식장소 : 물을 얻기 쉽고 건조한 지역
  • \분포지역 : 오스트레일리아 내륙 전역

특징

물을 얻기 쉽고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먹이를 찾아 북쪽으로 이동한다. 큰 무리를 이루고 강한 사회성을 지녀 먹이를 얻거나 천적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데 유리하다. 해 뜨기 전에 활동을 시작해 해가 뜨면 먹이활동을 할 장소로 이동해 낮 동안 먹이를 먹는데, 햇빛이 너무 뜨거우면 그늘에서 쉰다. 날이 저물 무렵 큰 소리를 내며 나무 주위를 빠르게 날면서 무리를 짓는다. 주된 먹이는 땅에 떨어진 풀의 씨앗, 곡류 등이다.

암컷은 둥지를 선택해 한배에 4∼6개의 알을 낳고 18일 동안 알을 품는다. 그 동안 수컷은 먹이활동을 하고 새끼가 둥지를 떠날 때까지 먹이를 준다. 잉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육되며 수백의 변종이 있다. 수명은 7∼15년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내륙 전역에 분포한다.